키, 우크라 나토가입 인정 땐
미국 현대 외교안보 설계자 故키신저 트럼프 2기 패권전략 이해하는 ‘열쇠’ “푸틴은 히틀러 아닌도스토옙스키, 우크라 나토가입 인정 땐 美에 불리”.
바로 러시아를 대표하는 문학가이자 사상가인도스토옙스키에서 푸틴이 꿈꾸는 러시아의 모습이 보인다는 것입니다.
뭉크,도스토옙스키를 그리다/ 조주관/ 자유문고/ 3만3000원도스토옙스키가 라파엘로의 미술을 탐하며 글을 썼듯이, 뭉크는도스토옙스키의 문학을 탐하며 그림을 그렸다.
뭉크는도스토옙스키의 언어와 감정, 이야기를 선·면·색으로 변환시켜 자기만의 내면세계를 표현했다.
두 사람의 공통된 관심은 인간.
도스토옙스키도 시베리아 유배 체험에서 <죄와 벌> 걸작을 뽑아냈고, 솔제니친은 11년간의 강제 노동 속에서 <수용소 군도>를 완성했다.
빅토르 위고의 <레미제라블>도 추방지인 영국령 건지섬에서 쓴 역작이다.
문인들에게 유배지의 황폐한 땅은 '닫힌 공간'이 아니라 창작의 영감을 고양한 '열린 공간'이다.
도스토옙스키보다 디킨스를 더 좋아한다.
인류를 사랑하는 자신보다 사람들을 사랑하는 나 자신을 더 좋아한다.
실이 꿰어진 바늘을 갖는 것을 더 좋아한다.
모든 잘못은 이성이나 논리에 있다고 단언하지 않는 편을 더 좋아한다.
예외적인 것들을 더 좋아한다.
집을 일찍 나서는 것을 더.
▲ 뭉크,도스토옙스키를 그리다 = 조주관 지음.
도스토옙스키전문가인 조주관 연세대 명예교수가 에드바르 뭉크의 그림에 반영된 표도르도스토옙스키의 소설을 분석하며 새로운 시선으로 뭉크 작품을 해석했다.
'절규'의 화가 뭉크(1863∼1944)는 러시아의 대문호도스토옙스키(1821∼1881)의 광적인 팬이었던.
푸시킨, 톨스토이,도스토옙스키, 체호프 등 유명 러시아 작가에 비해 이야기한 고골이라는 러시아 작가의 이름은 우리에게 충분히 낯설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율 브리너가 주연한 1962년 영화 '대장 부리바(타라스 불바)'의 원작자가 고골이라면 금방이라도 내 작가로 다가올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현진건의 단편 <아다다,1921>에서는 사람을 팔고 사는 수단으로써 비정한 돈의 역할이 부여되고 저 유명한도스토옙스키의 <죄와벌,1866>에서는 라스콜리니코프가 도끼를 손에 들고 전당포를 찾는 이유가 된다.
언제나 내 마음속 청춘인 <날개,1936>의 주인공은 아내가 준 돈을 모두 화장실 변기통에 버리기도.
△러시아의 문장들(벨랴코프 일리야|352쪽|틈새책방)도스토옙스키, 톨스토이, 체호프 등 러시아 문학계 대표 작가 26인의 주요 문장 36개를 꼽았다.
2016년 한국 국적을 취득한 러시아 출신 방송인이자 러시아어문학 전공 교수로 재직 중인 저자가 러시아인들이 실생활에서 자연스럽게 활용하는 문학적 표현이.
1강 이병주와도스토옙스키: ‘자아와 세계의 만남’(3월 24일)을 시작으로 ▷2강 이병주의 부산 예찬송: ‘예낭풍물지’(3월 31일) ▷3강 이병주의 뉴욕.
신문 연재 제6, 7, 8회 3회에 걸쳐 다룬 ‘나림과도스토옙스키’에 관한 생생한 이야기는 제1강에서 들을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다섯 개 특강이.
"아름다움이 세상을 구원할 것이다.
" "모든 행복한 가정은 서로 닮았고 모든 불행한 가정은 제각각 나름으로 불행하다.
" 각각 한국인에게도 친숙한 두 작가,도스토옙스키와 톨스토이의 문장들이다.
실은, 첫 문장은도스토옙스키의 소설 『백치』에 나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훗날 평론가가 작품의 메시지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