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에잿더미가 된 고운사 연수전의
화마에잿더미가 된 고운사 연수전의 모습.
사진 제공=국가유산청 화재 전 고운사 연수전.
화마에잿더미가 된 고운사 가운루의 모습.
사진 제공=국가유산청 화재 전 고운사 가운루 .
[서울경제] 경상북도 의성군의 고운사는 화마에 소속 건물들이잿더미가 된 것도.
아픈 사연을 가진 주택이 있다.
건축주 가족들이 20년 넘게 살던 집은 2023년 산불로 전소됐다.
망연자실했지만 다시 일어섰다.
잿더미위에 한옥을 짓기 시작했다.
불탄 집은 겨울에 난로를 옆에 달고 살아야 할 만큼 추웠기 때문이다.
잘 남아있는 독특한 사찰 누각으로 평가됩니다.
18세기 후반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청송 사남고택 역시 불길을 피하지 못한 채잿더미가 됐습니다.
국가유산청과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은 최근 고운사 연수전과 가운루, 사남고택 등 피해 유산 부재 총 624점을 수습.
com /사진= 화마가 휩쓸고 지나간 자리엔 형태를 알아볼 수 없는잿더미들만 남는다.
어디서, 어떻게 화재가 시작됐는지 가늠도 안 된다.
하지만 이같은 참사를 막기 위해 까만 재와 뒤엉켜 그 원인.
산 너머 골짜기를 타고 다시 신흥리로 밀려들었다.
이번엔 마을 한가운데를 정통으로 덮쳤다.
그날 신흥리 집 41채 중 39채가잿더미로 변했다.
신흥리 앞산에서 촬영한 산불로 타버린 신흥리 풍경.
김현일씨가 대피를 알리던 마을회관 마이크 잔해가 이곳까지.
28일 인천 남동구 구월동 로데오거리의 한 상가건물이 지난 25일 발생한 화재로 외벽 일부가 소실됐다.
지난 2월 로데오거리 한 상가.
4일에 시작된 불이 강한 바람을 타고 열흘 넘게 번지면서 지금까지 공원 안에 있는 산장을 포함해서 여의도의 7배 면적의 산림이잿더미가 됐습니다.
산불 초기에 공원 관리소의 안이한 대응이 피해를 키웠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매우 번성했던 고대 도시 폼페이는 와인 생산과 이를 통한 상업도 활발히 이뤄지던 도시였다.
하지만 화산 폭발로 단 하루 만에잿더미가 되어 오랜 시간 역사에서 소멸한 도시가 됐다.
폼페이(Pompei)에서 발굴된 와인 바.
1996년 이탈리아 정부는 시간이 멈춘.
낡은 벽걸이 선풍기에서 시작된 누전은 강단과 성도들의 눈물과 기도가 밴 장의자, 커튼 등 예배 처소의 모든 것을잿더미로 만들었다.
이번 화재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액만 90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김홍종 부산 신성교회 목사가 지난달.
호텔 올로프슨 누리집 갈무리 카리브해 국가 아이티의 수도 포르토프랭스의 랜드마크인 ‘호텔 올로프슨’이잿더미가 됐다.
한때 예술과 외교의 중심지였던 이 역사적인 장소는 정부 기능이 사실상 마비된 상황 속에서 갱단의 방화로 소실됐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