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고용, 코로나로 남성보다 타격···가정폭력·직장 성차별도 더욱 심화”
국제노동기구(ILO)가 19일(현지시간) 발간한 정책브리핑 자료를 보면, 2019년과 2020년 사이 여성의 일자리는 전 세계적으로 4.2%(5400만개)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남성의 일자리 감소율은 3.0%(6000만개)로 나타나 상대적 격차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미주 지역의 여성 고용 감소율이 9.4%로 가장 컸으며, 아랍 지역(-4.1%), 아시아·태평양 지역(-3.8%), 유럽 및 중앙아시아(-2.5%), 아프리카(-1.9%)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들이 고용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큰 충격을 받게 된 것은 코로나19 방역 조치로 피해를 많이 본 숙박과 음식 서비스 업종에 이들이 주로 종사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ILO는 “가정폭력이나 직장에서의 성차별, 괴롭힘이 전염병 기간 동안 악화되면서 여성들이 취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떨어뜨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ILO는 고용시장에서의 남녀 간 불평등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남성의 고용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직전인 2019년 수준으로 회복되겠지만, 여성의 고용 인원은 오히려 2019년 대비 1300만명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여성 고용률은 43.2%로 남성(68.6%)에 비해 크게 낮아질 것이라고 ILO는 예상했다.
-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여성들의 일자리 타격이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폭력이나 직장에서의 성차별도 더욱 심화된 것으로 전해졌다.
국제노동기구(ILO)가 19일(현지시간) 발간한 정책브리핑 자료를 보면, 2019년과 2020년 사이 여성의 일자리는 전 세계적으로 4.2%(5400만개)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남성의 일자리 감소율은 3.0%(6000만개)로 나타나 상대적 격차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미주 지역의 여성 고용 감소율이 9.4%로 가장 컸으며, 아랍 지역(-4.1%), 아시아·태평양 지역(-3.8%), 유럽 및 중앙아시아(-2.5%), 아프리카(-1.9%)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들이 고용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큰 충격을 받게 된 것은 코로나19 방역 조치로 피해를 많이 본 숙박과 음식 서비스 업종에 이들이 주로 종사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ILO는 “가정폭력이나 직장에서의 성차별, 괴롭힘이 전염병 기간 동안 악화되면서 여성들이 취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떨어뜨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ILO는 고용시장에서의 남녀 간 불평등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남성의 고용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직전인 2019년 수준으로 회복되겠지만, 여성의 고용 인원은 오히려 2019년 대비 1300만명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여성 고용률은 43.2%로 남성(68.6%)에 비해 크게 낮아질 것이라고 ILO는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