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인 간의 데이트폭력이 성격과 같은 개인차보다는 폭력에 대한 ‘학습된 태도’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일 경찰에 따르면 한민경 경찰대학 범죄학과 교수와 홍세은 경찰대학 치안대학원 범죄학과 박사과정생은 ‘성격 및 폭력 태도 특성에 따른 남성의 유형화와 데이트폭력 차이 분석’ 논문을 형사정책연구 겨울호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이 실시한 ‘데이트폭력 실태조사 2015’ 자료 가운데 19세 이상 59세 이하 성인 미혼 남성 2000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데이트폭력 가해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해 분석을 시도했다. 연구진은 조사 대상 남성들의 성격적 특성, 폭력에 대한 태도, 데이트폭력 경험 등을 토대로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시도해 이들을 ‘관계 안정형’ ‘폭력 억제형’ ‘폭력 관용형’ ‘폭력 지향형’ 4개 유형으로 구분했다.
분석 결과 폭력 지향형은 전체 응답자의 8.8%(175명)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 내에서 폭력을 긍정적인 수단으로 생각하는 정도가 높고 폭력을 문제시하지 않는 경향도 매우 높다. 폭력 관용형은 응답자의 10.2%(204명)를 차지했다. 이들 역시 폭력을 허용하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응답자의 48.1%(962명)는 폭력 억제형, 응답자의 33.0%는 관계 안정형으로 분류됐다. 폭력 억제형은 폭력을 긍정적인 수단으로 생각하지 않고 억제하려는 태도를 지녔다. 관계 안정형은 성격적 결함이 적고 폭력을 문제해결 수단으로 생각하지 않는 특징을 가졌다.
연구진은 4개 유형 중 폭력 억제형과 폭력 관용형의 차이에 주목했다. 두 유형은 비슷한 성격적 결함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데이트폭력 가해 유무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연구진은 둘의 차이가 학습된 폭력에 대한 태도의 차이에 있다고 봤다. 연구진은 “개인의 성격적 특성이 데이트폭력에 미치는 영향력도 배제할 수는 없다”면서도 “개인의 성격 특성보다는 폭력에 대한 전반적인 긍정적 및 허용적 태도가 데이트폭력 가해 행동의 발현에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연구진은 향후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폭력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확립할 수 있는 교육들이 선제적으로 이뤄질 필요성이 있다고 조언했다. 가해자들에게 폭력에 대한 우호적인 태도를 교정하는 인지 치료 프로그램 등도 실시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김판 기자 pan@kmib.co.kr
-
연인 간의 데이트폭력이 성격과 같은 개인차보다는 폭력에 대한 ‘학습된 태도’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교육 등을 통해 폭력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형성하는 것이 데이트폭력에 효과적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2일 경찰에 따르면 한민경 경찰대학 범죄학과 교수와 홍세은 경찰대학 치안대학원 범죄학과 박사과정생은 ‘성격 및 폭력 태도 특성에 따른 남성의 유형화와 데이트폭력 차이 분석’ 논문을 형사정책연구 겨울호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이 실시한 ‘데이트폭력 실태조사 2015’ 자료 가운데 19세 이상 59세 이하 성인 미혼 남성 2000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데이트폭력 가해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해 분석을 시도했다. 연구진은 조사 대상 남성들의 성격적 특성, 폭력에 대한 태도, 데이트폭력 경험 등을 토대로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시도해 이들을 ‘관계 안정형’ ‘폭력 억제형’ ‘폭력 관용형’ ‘폭력 지향형’ 4개 유형으로 구분했다.
분석 결과 폭력 지향형은 전체 응답자의 8.8%(175명)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 내에서 폭력을 긍정적인 수단으로 생각하는 정도가 높고 폭력을 문제시하지 않는 경향도 매우 높다. 폭력 관용형은 응답자의 10.2%(204명)를 차지했다. 이들 역시 폭력을 허용하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응답자의 48.1%(962명)는 폭력 억제형, 응답자의 33.0%는 관계 안정형으로 분류됐다. 폭력 억제형은 폭력을 긍정적인 수단으로 생각하지 않고 억제하려는 태도를 지녔다. 관계 안정형은 성격적 결함이 적고 폭력을 문제해결 수단으로 생각하지 않는 특징을 가졌다.
연구진은 4개 유형 중 폭력 억제형과 폭력 관용형의 차이에 주목했다. 두 유형은 비슷한 성격적 결함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데이트폭력 가해 유무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연구진은 둘의 차이가 학습된 폭력에 대한 태도의 차이에 있다고 봤다. 연구진은 “개인의 성격적 특성이 데이트폭력에 미치는 영향력도 배제할 수는 없다”면서도 “개인의 성격 특성보다는 폭력에 대한 전반적인 긍정적 및 허용적 태도가 데이트폭력 가해 행동의 발현에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연구진은 향후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폭력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확립할 수 있는 교육들이 선제적으로 이뤄질 필요성이 있다고 조언했다. 가해자들에게 폭력에 대한 우호적인 태도를 교정하는 인지 치료 프로그램 등도 실시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김판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