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가부, 가정폭력 피해자 지원시설 종사자 근로 환경·처우 개선
여성가족부는 정영애 장관이 28일 설 명절을 앞두고 서울 소재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시설을 찾아 시설 종사자와 피해자를 격려하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상황을 점검한다고 27일 밝혔다.
이번에 방문하는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시설은 1992년 개원해 피해자들에게 숙식과 상담, 의료·법률, 임대주택 지원 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여가부는 전국 65개소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시설을 운영하며 가정폭력 피해자들이 폭력 상황에서 벗어나 안전한 일상을 누리고, 사회‧경제적 기반을 다질 수 있도록 자립‧자활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올해는 시설 종사자들이 보다 안정적인 여건에서 피해자 보호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인건비 예산을 전년대비 16.6% 증액(국비 지원 기준)했다. 보호시설 종사자 처우개선 예산 증액은 2021년 79억700만원에서 올해 92억1600만원으로 증가했다.
또 가정폭력 등 피해자 인권을 보호하고 권리 구제를 위해 피해자 대상 무료법률 지원예산을 확대(2021년 29억원→2022년 32억원)하고, 자립 및 주거안정을 위해 임대주택 지원도 늘렸다.
정영애 장관은 "여가부는 가정폭력 피해자 지원시설 종사자들의 근로 환경과 처우를 개선하고, 가정폭력 피해자들이 평온한 일상을 조속히 되찾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번에 방문하는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시설은 1992년 개원해 피해자들에게 숙식과 상담, 의료·법률, 임대주택 지원 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여가부는 전국 65개소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시설을 운영하며 가정폭력 피해자들이 폭력 상황에서 벗어나 안전한 일상을 누리고, 사회‧경제적 기반을 다질 수 있도록 자립‧자활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올해는 시설 종사자들이 보다 안정적인 여건에서 피해자 보호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인건비 예산을 전년대비 16.6% 증액(국비 지원 기준)했다. 보호시설 종사자 처우개선 예산 증액은 2021년 79억700만원에서 올해 92억1600만원으로 증가했다.
또 가정폭력 등 피해자 인권을 보호하고 권리 구제를 위해 피해자 대상 무료법률 지원예산을 확대(2021년 29억원→2022년 32억원)하고, 자립 및 주거안정을 위해 임대주택 지원도 늘렸다.
정영애 장관은 "여가부는 가정폭력 피해자 지원시설 종사자들의 근로 환경과 처우를 개선하고, 가정폭력 피해자들이 평온한 일상을 조속히 되찾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
여성가족부는 정영애 장관이 28일 설 명절을 앞두고 서울 소재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시설을 찾아 시설 종사자와 피해자를 격려하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상황을 점검한다고 27일 밝혔다.
이번에 방문하는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시설은 1992년 개원해 피해자들에게 숙식과 상담, 의료·법률, 임대주택 지원 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여가부는 전국 65개소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시설을 운영하며 가정폭력 피해자들이 폭력 상황에서 벗어나 안전한 일상을 누리고, 사회‧경제적 기반을 다질 수 있도록 자립‧자활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올해는 시설 종사자들이 보다 안정적인 여건에서 피해자 보호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인건비 예산을 전년대비 16.6% 증액(국비 지원 기준)했다. 보호시설 종사자 처우개선 예산 증액은 2021년 79억700만원에서 올해 92억1600만원으로 증가했다.
또 가정폭력 등 피해자 인권을 보호하고 권리 구제를 위해 피해자 대상 무료법률 지원예산을 확대(2021년 29억원→2022년 32억원)하고, 자립 및 주거안정을 위해 임대주택 지원도 늘렸다.
정영애 장관은 "여가부는 가정폭력 피해자 지원시설 종사자들의 근로 환경과 처우를 개선하고, 가정폭력 피해자들이 평온한 일상을 조속히 되찾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