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고기피자 라지요” 뜬금없던 112 주문전화, 가정폭력 SOS였다
112 상황실로 걸려온 뜬금없는 주문 전화에 범죄를 직감한 경찰이 가정폭력 피해자를 구조했다.
사건은 지난 18일 오후 9시20분쯤 경기남부경찰청 112 치안종합상황실에 걸려온 전화 한 통에서 시작됐다. 신고자인 여성 A씨는 반대편에서 수화기를 들자마자 다급한 목소리로 주소를 속사포처럼 뱉어냈다. 그리고는 불고기피자를 가져다 달라는 알 수 없는 말을 덧붙였다.
당시 전화를 받았던 김정의 경사는 처음에는 ‘잘못 걸려온 전화인가’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그러나 계속 귀를 기울이고 듣던 중 A씨 옆에서 한 남성의 목소리가 들리자, 도움을 요청하는 상황임을 직감했다.
김 경사는 즉시 강력범죄 현행범을 잡아야 할 때 내리는 ‘코드 0′을 발령했다. 그리고는 피자 가게 직원인 것처럼 “정확한 주소를 확인하겠습니다”라며 침착한 대응을 이어갔다. A씨 위치를 파악한 경찰은 신고 접수 7분 만에 현장에 도착했고, 가정폭력 가해자인 A씨 남편을 검거할 수 있었다.
경기남부경찰청 관계자는 “과거 ‘짜장면이 먹고 싶다’며 112에 신고한 성범죄 피해자를 구조한 사례와 비슷하다”며 “평소 112 직원들은 신고자의 말을 조금도 흘려듣지 않고 세심하게 진술을 들은 뒤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피해자들의 전화 속 숨겨진 구조 SOS를 그냥 지나치지 않은 경찰관들의 활약은 과거에도 있었다. 지난해 4월 서울에서 발생한 ‘짜장면 주문 신고’도 같은 사례다. 성폭행 피해자였던 신고자는 당시 4차례 연달아 전화를 걸어 “모텔” “아빠, 나 짜장면 먹고 싶어서 전화했어”라는 수상한 말을 했고, 이를 구조 신호로 여긴 경찰관은 아버지인 것처럼 통화를 계속해 위치를 파악했다.
지난달 27일 “잘못 눌렀다”는 신고자의 떨리는 목소리를 들은 경찰관이 심상치 않은 상황임을 눈치챈 일도 있었다. 피해 여성은 가해자 차량에 감금당한 직후 긴급 SOS 문자로 경찰에 신고했다. 휴대전화 전원 버튼을 세 번 누르면 자동으로 신고되는 기능을 이용한 것이다.
이를 토대로 경찰이 출동했으나 정확한 정보가 없었고 “출동한 경찰관입니다” “연락받기 어려우십니까” 등의 문자를 보내고 통화를 시도했지만 닿지 않았다. 그러던 피해자는 15분쯤 뒤 전화해 “휴대전화를 잘못 눌렀다. 죄송하다. 신고하려던 게 아니다”는 취지의 말을 했다. 경찰관은 이때 피해자의 목소리가 떨린다는 점을 포착하고, 통화를 이어나가 위치를 알아낼 수 있었다.
-
“불고기피자 라지 사이즈로 갖다 주세요.”
112 상황실로 걸려온 뜬금없는 주문 전화에 범죄를 직감한 경찰이 가정폭력 피해자를 구조했다.
사건은 지난 18일 오후 9시20분쯤 경기남부경찰청 112 치안종합상황실에 걸려온 전화 한 통에서 시작됐다. 신고자인 여성 A씨는 반대편에서 수화기를 들자마자 다급한 목소리로 주소를 속사포처럼 뱉어냈다. 그리고는 불고기피자를 가져다 달라는 알 수 없는 말을 덧붙였다.
당시 전화를 받았던 김정의 경사는 처음에는 ‘잘못 걸려온 전화인가’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그러나 계속 귀를 기울이고 듣던 중 A씨 옆에서 한 남성의 목소리가 들리자, 도움을 요청하는 상황임을 직감했다.
김 경사는 즉시 강력범죄 현행범을 잡아야 할 때 내리는 ‘코드 0′을 발령했다. 그리고는 피자 가게 직원인 것처럼 “정확한 주소를 확인하겠습니다”라며 침착한 대응을 이어갔다. A씨 위치를 파악한 경찰은 신고 접수 7분 만에 현장에 도착했고, 가정폭력 가해자인 A씨 남편을 검거할 수 있었다.
경기남부경찰청 관계자는 “과거 ‘짜장면이 먹고 싶다’며 112에 신고한 성범죄 피해자를 구조한 사례와 비슷하다”며 “평소 112 직원들은 신고자의 말을 조금도 흘려듣지 않고 세심하게 진술을 들은 뒤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피해자들의 전화 속 숨겨진 구조 SOS를 그냥 지나치지 않은 경찰관들의 활약은 과거에도 있었다. 지난해 4월 서울에서 발생한 ‘짜장면 주문 신고’도 같은 사례다. 성폭행 피해자였던 신고자는 당시 4차례 연달아 전화를 걸어 “모텔” “아빠, 나 짜장면 먹고 싶어서 전화했어”라는 수상한 말을 했고, 이를 구조 신호로 여긴 경찰관은 아버지인 것처럼 통화를 계속해 위치를 파악했다.
지난달 27일 “잘못 눌렀다”는 신고자의 떨리는 목소리를 들은 경찰관이 심상치 않은 상황임을 눈치챈 일도 있었다. 피해 여성은 가해자 차량에 감금당한 직후 긴급 SOS 문자로 경찰에 신고했다. 휴대전화 전원 버튼을 세 번 누르면 자동으로 신고되는 기능을 이용한 것이다.
이를 토대로 경찰이 출동했으나 정확한 정보가 없었고 “출동한 경찰관입니다” “연락받기 어려우십니까” 등의 문자를 보내고 통화를 시도했지만 닿지 않았다. 그러던 피해자는 15분쯤 뒤 전화해 “휴대전화를 잘못 눌렀다. 죄송하다. 신고하려던 게 아니다”는 취지의 말을 했다. 경찰관은 이때 피해자의 목소리가 떨린다는 점을 포착하고, 통화를 이어나가 위치를 알아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