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신가정폭력상담소_내용
총신가정폭력상담소_모바일용

대한체육회장과 운동부를 운영하는 대학교의 총장 등이 운동부의 폭력적 통제 문화의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

00애 22-08-26 15:23 76 1
대한체육회장과 운동부를 운영하는 대학교의 총장 등이 운동부의 폭력적 통제 문화의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 권고에 대해 관련 기관들이 수용 입장을 밝혔다.

인권위는 전문운동선수 100명, 운동부 10개 이상을 교육·운영하는 대학교 9곳과 대한체육회장, 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장, 교육부 장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인권위의 권고에 따라 관련 조치를 취하고 그 내용을 회신했다고 26일 밝혔다.

인권위는 2020년 '학교운동부 폭력 문화·관습에 대한 직권조사'의 결과를 기반으로, 지난해 3월29일 피권고기관들에게 대학 운동부 폭력 문화 개선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라고 권고했다.

이에 대한체육회장은 지난해 7월9일 '스포츠공정위원회 규정'에 '선수에 대한 괴롭힘' 항목을 신설하고, 지난 1월24일 '스포츠공정위원회 규정'을 개정해 괴롭힘 피해자의 범위를 선수뿐만 아니라 지도자, 심판, 임원, 선수관리담당자 등으로 확대했다고 회신했다.

또 폭력예방교육을 의무교육으로 지정, 지난해 6월부터 스포츠윤리센터를 통해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지난 3월15일부터 경기인등록시스템에도 인권교육 이수를 의무하하고 있다고 답했다.

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장도 폭력적 통제를 예방하기 위한 연간 계획을 수립·배포하고 대학운동부 평가지표에 '대학운동부 인권 증진' 영역을 신설·도입했으며, 2021년 총 116개교, 4016명의 학생 선수를 대상으로 학년별 인권교육을 시행했다고 전했다.

교육부는 대학별 인권센터 설치 의무화에 따른 설치·운영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고등교육법 시행령'을 개정했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도 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가 폭력적 통제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대학스포츠 인권증진사업 예산 1억4000만원을 반영하겠다고 전했다.

직권조사 대상이었던 9개 대학(경희대·단국대·동국대·세한대·중앙대·조선대·한국체육대·한양대)은 학내 인권침해 구제기구에서 폭력적 통제를 규제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정을 정비하는 등 인권위의 권고 내용을 이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용인대는 지난해 종목별 학생선수에 대한 인권교육을 실시했고 2022년 9월 중 인권센터를 개소할 예정이나, 운동부 지도자 평가 시 폭력적 통제 예방 및 관리·감독에 대한 사안도 포함하라는 인권위 권고에 대해서는 이행 계획을 회신하지 않았다.

인권위는 "운동부의 엄격한 위계 문화에서 비롯된 인권침해 행위를 근절하기 위해 앞으로도 학교운동부의 폭력적 통제 문화에 대한 인식 개선에 각별한 관심과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댓글목록
  • 총신가정폭력상담소 () 답변

    대한체육회장과 운동부를 운영하는 대학교의 총장 등이 운동부의 폭력적 통제 문화의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 권고에 대해 관련 기관들이 수용 입장을 밝혔다.

    인권위는 전문운동선수 100명, 운동부 10개 이상을 교육·운영하는 대학교 9곳과 대한체육회장, 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장, 교육부 장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인권위의 권고에 따라 관련 조치를 취하고 그 내용을 회신했다고 26일 밝혔다.

    인권위는 2020년 '학교운동부 폭력 문화·관습에 대한 직권조사'의 결과를 기반으로, 지난해 3월29일 피권고기관들에게 대학 운동부 폭력 문화 개선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라고 권고했다.

    이에 대한체육회장은 지난해 7월9일 '스포츠공정위원회 규정'에 '선수에 대한 괴롭힘' 항목을 신설하고, 지난 1월24일 '스포츠공정위원회 규정'을 개정해 괴롭힘 피해자의 범위를 선수뿐만 아니라 지도자, 심판, 임원, 선수관리담당자 등으로 확대했다고 회신했다.

    또 폭력예방교육을 의무교육으로 지정, 지난해 6월부터 스포츠윤리센터를 통해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지난 3월15일부터 경기인등록시스템에도 인권교육 이수를 의무하하고 있다고 답했다.

    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장도 폭력적 통제를 예방하기 위한 연간 계획을 수립·배포하고 대학운동부 평가지표에 '대학운동부 인권 증진' 영역을 신설·도입했으며, 2021년 총 116개교, 4016명의 학생 선수를 대상으로 학년별 인권교육을 시행했다고 전했다.

    교육부는 대학별 인권센터 설치 의무화에 따른 설치·운영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고등교육법 시행령'을 개정했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도 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가 폭력적 통제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대학스포츠 인권증진사업 예산 1억4000만원을 반영하겠다고 전했다.

    직권조사 대상이었던 9개 대학(경희대·단국대·동국대·세한대·중앙대·조선대·한국체육대·한양대)은 학내 인권침해 구제기구에서 폭력적 통제를 규제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정을 정비하는 등 인권위의 권고 내용을 이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용인대는 지난해 종목별 학생선수에 대한 인권교육을 실시했고 2022년 9월 중 인권센터를 개소할 예정이나, 운동부 지도자 평가 시 폭력적 통제 예방 및 관리·감독에 대한 사안도 포함하라는 인권위 권고에 대해서는 이행 계획을 회신하지 않았다.

    인권위는 "운동부의 엄격한 위계 문화에서 비롯된 인권침해 행위를 근절하기 위해 앞으로도 학교운동부의 폭력적 통제 문화에 대한 인식 개선에 각별한 관심과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가족,성폭력,상담,전문센터

전화문자카톡관리자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