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신가정폭력상담소_내용
총신가정폭력상담소_모바일용

18일 결혼정보회사 가연에 따르면, 25~39세 기혼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5 결혼 인식 조사’에서 전체 응답…

김승현 기자 25-04-18 16:20 30 1
기혼자 10명 중 1명은 아직 혼인신고를 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18일 결혼정보회사 가연에 따르면, 25~39세 기혼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5 결혼 인식 조사’에서 전체 응답자 중 8.8%는 아직 혼인신고를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 혼인신고를 하지 않은 응답자 중 56.8%는 ‘미혼인 상태가 신혼집 마련에 유리해서’라고 답했다.

이어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18.2%), ‘결혼해도 필수 절차는 아니라고 생각해서’(15.9%), ‘아직 배우자에 대한 믿음이 부족해서’(2.3%) 등 순으로 집계됐다.

반면 응답자의 91.2%는 혼인신고를 완료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중 ‘결혼식을 올린 후 1년 이내’ 혼인신고를 했다는 응답자가 47.4%로 가장 많았으며, ‘결혼식을 올리기 이전’이 29.8%로 뒤를 이었다.

이어 ‘결혼식을 올린 후 2년 이내’(7.2%), ‘3년 이내’(3.6%), ‘3년 이상’(3.2%) 순이었다.

혼인신고를 한 이유로는 ‘결혼하면 당연한 절차라고 생각해서’라는 응답이 37.1%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신혼집 마련 혜택을 받기 위해서’(32.5%), ‘배우자에 대한 신뢰’(20%), ‘자녀 교육 문제’(6.8%) 등이 뒤를 이었다.

혼인신고의 시기는 연령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혼인신고 시기로 ‘결혼식을 올리기 이전’을 택한 30대는 23.4%인 반면, 20대는 42.8%로 2배 가까이 높았다.

상대적으로 30대보다 경제적 기반이 약한 20대가 신혼집 마련을 위한 신혼부부 혜택이 더 필요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30대 부부는 식 올린 후 1년 이내(52.4%)를 택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조은하 가연 커플매니저는 “혼인신고를 미룬 이의 대다수가 신혼집 마련을 1순위로 꼽은 것을 보면,

청약 같은 경우는 미혼일 때가 더 유리하다는 인식이 아직 많은 것 같다”며 “신혼부부 특별공급이나 세액공제, 청약 기회 확대 등 기혼자를 위한 혜택이 늘어나고,

점점 결혼 페널티를 줄이는 정책이 집중되고 있으니 참고해서 계획을 세우면 좋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김승현 기자 tmdgus@donga.com
댓글목록
  • 총신가정폭력상담소 () 답변

    기혼자 10명 중 1명은 아직 혼인신고를 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18일 결혼정보회사 가연에 따르면, 25~39세 기혼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5 결혼 인식 조사’에서 전체 응답자 중 8.8%는 아직 혼인신고를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 혼인신고를 하지 않은 응답자 중 56.8%는 ‘미혼인 상태가 신혼집 마련에 유리해서’라고 답했다.

    이어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18.2%), ‘결혼해도 필수 절차는 아니라고 생각해서’(15.9%), ‘아직 배우자에 대한 믿음이 부족해서’(2.3%) 등 순으로 집계됐다.

    반면 응답자의 91.2%는 혼인신고를 완료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중 ‘결혼식을 올린 후 1년 이내’ 혼인신고를 했다는 응답자가 47.4%로 가장 많았으며, ‘결혼식을 올리기 이전’이 29.8%로 뒤를 이었다.

    이어 ‘결혼식을 올린 후 2년 이내’(7.2%), ‘3년 이내’(3.6%), ‘3년 이상’(3.2%) 순이었다.

    혼인신고를 한 이유로는 ‘결혼하면 당연한 절차라고 생각해서’라는 응답이 37.1%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신혼집 마련 혜택을 받기 위해서’(32.5%), ‘배우자에 대한 신뢰’(20%), ‘자녀 교육 문제’(6.8%) 등이 뒤를 이었다.

    혼인신고의 시기는 연령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혼인신고 시기로 ‘결혼식을 올리기 이전’을 택한 30대는 23.4%인 반면, 20대는 42.8%로 2배 가까이 높았다.

    상대적으로 30대보다 경제적 기반이 약한 20대가 신혼집 마련을 위한 신혼부부 혜택이 더 필요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30대 부부는 식 올린 후 1년 이내(52.4%)를 택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조은하 가연 커플매니저는 “혼인신고를 미룬 이의 대다수가 신혼집 마련을 1순위로 꼽은 것을 보면,

    청약 같은 경우는 미혼일 때가 더 유리하다는 인식이 아직 많은 것 같다”며 “신혼부부 특별공급이나 세액공제, 청약 기회 확대 등 기혼자를 위한 혜택이 늘어나고,

    점점 결혼 페널티를 줄이는 정책이 집중되고 있으니 참고해서 계획을 세우면 좋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김승현 기자 tmdgus@donga.com

가족,성폭력,상담,전문센터

전화문자카톡관리자로그인